자산배분

고정 비중 포트폴리오

unius 2022. 11. 7. 09:25
728x90
반응형
 

자산배분이 필요하다

주식에 장기투자 하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살아있는 투자의 대가 워렌버핏도 10년을 보유할 주식이 아니면 단 10분도 투자하지 말라고 했다고 하지 않던가. 하지만 일반투자자가 정

myportfolio.tistory.com

자산배분이 필요하다는 지난 글에서 주식의 단순 매수 후 보유 전략으로는 장기투자에 성공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아무리 잘 고른 우량주라고 하더라도 최소 한번 이상 경험하게 되는 폭락장에서의 변동성을 감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자자산의 배분을 통해 위험을 분산하고 전체적인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낮추는 것은 전문 투자자가 아닌 우리와 같은 일반 투자자에게는 반드시 필요하고 할 수 있다.

 

정적자산배분과 동적자산배분

포트폴리오 투자전략의 기본은 자산배분이다. 단어의 뜻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주식, 채권, 원자재, 금, 달러, 코인(?), 현금 등의 자산을 적절히 배분하여 보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산의 비

myportfolio.tistory.com

자산배분의 기본은 서로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자산군을 하나의 포트폴리오로 구성하는 것인데 가장 많이 알려진 정적 자산배분 전략 중 하나가 주식과 채권에 60:40 비율로 월단위의 리밸런싱을 적용하는 고정비중 포트폴리오이다. 일반적으로 주식과 채권은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면서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알려져 있기에 채권은 자산배분에서 빠지지 않는 단골손님이다. 따라서 주식과 채권을 적절한 비율로 섞는다면 주식의 높은 변동성을 줄이면서 안정적으로 우상향 하는 수익률을 달성할 수가 있게 된다.

 

고정비중 포트폴리오 백테스트

포트폴리오 최적화와 관련된 지난 몇개의 글들을 통해서 해리 마코위츠의 평균-분산 최적화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주어진 위험 수준에서 최대의 기대수익률을 갖는 포트폴리오들을 보았고

myportfolio.tistory.com

지난번 고정 비중 포트폴리오 글에서 예를 든 애플과 엔비디아로 구성된 자산군은 단순히 고정 비중 포트폴리오의 백테스트 예시이며 애플과 엔비디아는 비슷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적절한 자산구성은 아니다. 따라서 주식과 채권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가 적절한 예시라고 할 수 있으며 주식과 채권의 6:4 포트폴리오와 같은 고전적인 전략 이외에도 해리브라운의 영구포트폴리오, 레이달리오의 올웨더포트폴리오와 같은 다양한 정적자산배분 전략들이 많이 공개되어 있다.

 

위와 결과는 S&P500 추종 ETF인 SPY와 미국장기국채 ETF인 TLT를 비중을 조절해가며 백테스트한 결과이다.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채권의 비중을 조절하여 연간수익률(CAGR)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으면서 변동성(Stdev)이 낮아지고 최대낙폭(MDD) 또한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글에서는 고정된 비중이 아닌 포트폴리오 내의 자산의 비중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전략중의 하나인 변동성 역가중 전략을 정리해보겠다

 

728x90
반응형